해외여행 계획 중 PCR 입국자 방역 정책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해외여행 계획 중 PCR 입국자 방역 정책

by 금괴아저씨 2022. 5. 17.
반응형

해외여행 계획 중 PCR 입국자 방역 정책

 

 거리두기 해제와 더불어 점차 일상으로의 회복이 가까워진 요즘, 해외여행 한 번쯤은 다시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실 텐데요. 항공편이 아직 이전처럼 회복되지 않아 원하는 목적지까지 쉽게 가기 어려운 상태입니다. 

 또한, 아직까지 코로나19의 여파가 전 세계에 걸쳐 있기 때문에 각국의 입국자, 출국자 방역 정책이 여행의 발목을 잡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 입국 시 필요한 서류로는 유전자 증폭 검사 PCR 음성 확인서가 필수인데요, 이 확인서의 경우 해외에서 검사받고자 한다면 적게는 몇만 원에서 몇 십만 원 이상 받는 비용 때문에 가족 동반 여행객의 경우 배보다 배꼽이 큰 상황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이러한 여행업계의 애로사항에 따라 여행객 회복에 더딘 발걸음을 보이자, 우리나라의 입국자 방역 정책도 이번 달 23일부터 변경되는 것으로 발표했는데요, 한번 궁금한 사항 몇 가지를 추려 보았습니다. 

 

 

 

입국 시 음성 확인서 제출은 필수

 

 기존 정책의 경우 입국 전 48시간 이내에 시행한 PCR 유전자 증폭 검사 음성 확인서가 필수로 있어야 했지만,

23일부터는 입국 시 입국 전 24시간 이내에 실시한 전문가용 신속 항원 검사를 통해 받은 음성 확인서를 준비해도 입국이 가능하며, 기존처럼 PCR 유전자 증폭 검사 음성 확인서도 제출 가능합니다.

 신속항원 검사 음성 확인서든, PCR 유전자 증폭 검사 음성 확인서든 입국 시 음성 확인서 제출은 필수입니다.

 

 이 같이 정책이 변경된 이유는 해외의 경우 입국 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통해 받은 음성 확인서도 인정하는 나라가 많이 늘고 있으며, 외국에서 한국 입국 시 해당 나라에서 PCR 검사받기가 어렵거나, 비용 부담이 크다는 여러 고충들이 있었기에 외국과의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 개편되었다고 합니다.

 

  • 입국 시 PCR 검사와 전문가용 신속항원 검사 음성 확인서를 인정하는 나라

    - 미국
    - 캐나다
    - 프랑스
    - 독일
    - 스페인
    - 뉴질랜드
    - 중국
    - 베트남

  • PCR 유전자 증폭 검사 음성 확인서만 인정하는 나라

    - 일본
    - 인도네시아

 

 

그렇다면 전문가용 신속항원 검사 음성 확인은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요?

 

 입국 전 출발지 국가 내에서 출발 24 이내에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받고 음성 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만일 검사 시 양성인 경우 비행기를 탈 수 없으며, 입국 후 검사받는 것은 허용되지 않기에 꼭 입국 전에 검사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전문가용 신속항원 검사의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나라의 경우에는 이전과 같이 PCR 검사로만 음성 확인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자가검사 키트로 검사한 경우에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검역 철자

 

국내 입국 후 받아야 하는 의무 검사 횟수는?

 

 아직까지는 입국 1일 차에 PCR 유전자 증폭 검사를 해야 하고, 입국 후 6~7일 차에 전문가용 신속항원 검사를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지만, 

 6월부터는 입국 3일 이내 PCR 유전자 증폭 검사 실시 이후 입국 후 6~7일 차에 자가검사 키트 권고사항으로 완화됩니다.

 

 

 

입국 후 격리 면제 대상 확대 

 

 6월부터 만 12세 ~ 17세의 경우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을 받고 2주가 지나면 접종 완료자로 인정되어 가족이나 주변 접촉자 확진 시에도 격리 면제됩니다. 또한, 백신 접종 완료한 보호자와 함께 입국하는 만 12세 미만의 어린이도 격리 면제 대상이 됩니다.

 

 

 

 격리 면제 대상이 늘어나고, 해외 입국자 음성 확인서는 PCR 유전자 증폭 검사를 통한 음성 확인서,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를 통한 음성 확인서가 병행해 운영하는 것으로 방역 완화 지침을 발표하였으므로, 여행 계획 중이시라면 가능한 적은 비용으로 간단하게 검사받고 해외여행을 준비해 볼 수 있을 듯합니다. 

반응형

댓글